KRTCA

korea railway track construction association

철도·궤도공사업협의회


철도용어사전

철도용어사전
| | | | | | | | | | | | |
3 종건널목(三種건널목, thirth class koad crossing)

건널목의 보안장치 유무 및 방호능력의 분류법의 일종으로 건널목 교통안전 표지만 설치한 건널목을
말한다.
3위식(三位式) three position system

1. 3위식 신호기를 사용하여 열차 또는 차량의 진행 조건을 지시하는 신호방식.
2. 신호의 현시방식의 하나로 진행, 주의, 정지를 현시하며 녹색, 등황색, 적색의 3가지 색을 사용
하는데 이것은 신호기의 안쪽과 전방구간을 표시함.
4행정식기관(四行程式機關) four stroke(cycle) engine

크랑크 축이 2회전 할 때 1회의 연소 행정을 갖는 기관.
사각탐상법(斜角探傷法)

피검사 물체의 탐상면에서 꺽이어 진행하는 파를 사용하여 탐상하는 방법을 말함.
【차축초음파탐상검사규정】

사고 또는 장애 분석(事故 또는 障碍 分析) accidental analysis, accident investigation

운전사고, 운전장애 또는 사상사고의 재발방지를 위한 시정책의 수립을 위하여 일정한 기간 내에 발생
한 각종 운전사고, 운전장애 또는 사상사고를 유형별로 분석하는 것을 말함.
【철도사고보고 및 수습처리규정】
사구간(死區間) dead section
교류와 직류, 교류와 교류(상이 다른 경우)간의 접속부분에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한 구간.
☞ 전기사구간
※ 철도신호규정 : 궤도회로를 구성하는 궤도의 일부분에 열차가 점유하여도 궤도계전기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을 말함.
“절연구간”으로 용어순화 (바꿈말만 사용).
전철의 구분장치의 일종으로 변전소와 구분소 및 직,교류 접속개소에 설치하여 서로 다른 전기를
구분하는 구간이다.
1) 전철화 구간에 있어서의 전차선 전기단절 구간. 전차선의 급전은 장거리 급전으로 인한 전류 손실
을 막고 전차선등의 보수작업시 단절범위를 줄이기 위해 전차선 급전구간을 적당거리로 구획하여
급전하게 되는데 이때 접속부분은 전기적으로 단절된 구간이 생기며 열차는 이 구간을 타력으로
운전하게 된다.
2) 궤도회로를 구성하는 좌우 레일상에 차량의 차축이 놓이더라도 궤도회로가 단락되지 않는 구간.
선로의 분기교차점, 크로싱부분, 교량등에서 좌우 레일의 극성이 같게 되어, 궤도회로의 단락이
불가능한 경우에 사구간을 두게 됨. 사구간의 길이는 7m를 넘지 않게 해야 한다.

사두타이탐퍼(4頭 - ) four head tie tamper

1. 궤도정정 작업용 보선장비로 타이탐퍼의 일종이나 light weight tie tamper를 경량화한 것으로
스스로 달리는 능력이 없고 인력으로 밀게 되어 있음.
2. 운전과 다지기 작업은 2명이 소요되고 탬퍼 깊이와 작업능률은 라이트 웨이트 타이 탬퍼보다 떨어
지나 경량이라 기계의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것이 특징임.

사령선(司令線)

2역소 이상을 접속하여 그 일단 또는 중간이 사령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회선을 말함.
【통신선로시설규정】
사상사고(死傷事故) casualty accident

당해열차 또는 입환차량과 관련하여 사상자가 발생(건널목에서 자전거․손수레․우마차가 열차 및
차량에 접촉, 사상자 발생시 포함) 하였거나 혹은 선로에 사상자가 있는 것을 인지하고 정차하였을
때. 다만, 경상으로 치료를 요하지 않는 정도의 것은 제외하고 타 사고를 병발하여 사상자가 발행하
였을 때는 상당 종별에 의함. 【철도사고보고 및 수습처리규정】
사설철도(私設鐵道) private railway

국가 이외의 자가 그의 비용으로 영업을 목적으로 철도를 건설하여 경영하는 것을 말함.
【사설철도 및 전용철도 면허규정】
     1 [2][3][4][5][6][7][8][9][10]...[28][다음 10 개]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