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색압구(閉塞押口) |
연동폐색을 취급하기 위해 신호취급소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설비하는 압구.
|
|
폐색장치(閉塞裝置) block system |
열차운전방식에 있어서 폐색식 운전을 하기 위한 장치. 열차 운전방식에는 시간간격법과 공간간격법
이 있으며 공간간격법은 양역간을 1내지 수개의 폐색구간으로 구획하고 폐색구간의 입구에는 폐색장
치를 설치한다. 폐색방식에는 표권, 통표, 연사, 연동, 쌍신, 자동등 6개 폐색방식이 있음.
폐색구간을 정해서 폐색식 운행을 하기 위한 일체의 설비를 폐색장치라 하며, 정차장 상호간에 열차
를 충돌함이 없이 열차와 열차사이에 항상 일정한 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간간격법과 공간
간격법이 있다.
1. 시간간격법 : 보안도가 낮기 때문에 천재지변등으로 통신이 두절되는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
2. 공간간격법 : 폐색구간이 길면 길수록 보안도는 향상되지만 운행 밀도는 제한을 받는다.
|
|
폐색정자(閉塞挺子) blocking lever |
단선구간에 연동폐색식 또는 연사 폐색식을 시행하고 있을 때 폐색취급을 하기 위하여 그 폐색구간
양단역에 설치한 정자.
|
|
폐색준용법(閉塞準用法) applied block operation |
폐색방식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 이에 준하여 열차를 운전시키기 위하여 시행하는 방법을 말함.
1. 복선운전을 할 때:격시법, 전령법
2. 단선운전을 할 때:지도격시법, 전령법
【운전취급규정】
|
|
폐색취급버튼(閉塞取扱 - ) |
폐색을 취급하기 위해 신호 취급소 상호간에 상대적으로 설비하는 취급버튼을 말함.【철도신호규정】
|
|
폐색취급위반(閉塞取扱違反) violation of block section regulation |
운전장애의 일종으로 규정의 폐색취급을 하지 않고 열차를 운전하였을 때로 운전사고에 해당되지
않으나 열차 또는 차량운전에 지장을 준 것.
|
|
폐색표시등(閉塞表示燈) blocking status indication light |
기계연동폐색장치의 일부로 평상시 정지를 현시하며, 출발신호기에 진행신호를 현시하면 자동으로
진행을 현시하고 열차가 출발신호기 내방 궤도회로를 점유하거나 출발신호기의 진행신호를 정지로 복
위하면 정지로 변경된다. 형상은 등열식으로 완목식 출발신호기 밑에 첨장함.
|
|
폐전로식궤도회로(閉電路式軌道回路) normal close track circuit |
궤도계전기가 상시 여자되어 열차 또는 차량이 양쪽 레일을 단락시켰을 때 계전기가 무여자로 되는
방식의 궤도회로.
|
|
폐차(廢車) disabled car |
내구년한이 경과하거나 대 파손으로 인하여 수선이 불가능할 경우 철도청장의 승인을 얻은 후 절차를
밟아 차적에서 제외되는 차량.
|
|
폐표(廢票) discarding tickets |
승차권류 및 운수장표류 등을 잘못 발행, 잘못기재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 이를 폐지하는 것.
“무효표, 버림표”로 용어순화 (바꿈말만 사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