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TCA

korea railway track construction association

철도·궤도공사업협의회


철도용어사전

철도용어사전
| | | | | | | | | | | | |
궤도중심간격(軌道中心間隔) distance between centers of lines, distance center to center
복선인 경우나 정거장 구내에서 마주 오는 열차가 접촉하지 않도록 선로와 선로 사이에 두는 거리이
며 한 궤도중심과 다른 궤도 중심사이로 그 거리를 표시하며 정거장 구간은 4.3m 이상이어야 하며,
정거장외 2선 병설구간은 4.0m이상, 3선 이상 병설구간은 4.3m이상이어야 하며, 정거장 내의 궤도
중심간격은 가공전차선 지지주, 신호기, 급수주 등을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적당히 확대
하고, 곡선구간에 있어서는 건축한계 확대치수 50,000/R의 2배 이상을 확대하여야 함.
병행하는 2개의 궤도중심선간의 거리로서, 궤도가 2선 이상 부설되었을 때 각 선을 운행하는 차량의
교행에 지장이 없고 열차내의 승객이나 승무원에 위험이 없으며, 정차장내에 병렬유치되었을 때 차량
사이에서 종사원이 차량정비작업이나 입환작업을 할 수 있는 여유를 고려하여 궤도중심간격을 확보하
여야 하나, 궤도중심간격이 너무 넓으면 용지비와 건설비가 증대하므로 일정한 한도를 정하게 된다.
궤도중심선(軌道中心線) center of the track
궤도를 부설함에 있어 필요한 중심선을 말하며 궤도상의 타 시설물과 연관관계를 갖고 있음.
궤도침하(軌道枕下) subsidence of the track
열차운행으로 인하여 도상이나 노반이 연약한 곳에서 궤도가 침하되는 현상. 노반의 연약으로 인한
노반침하와 도상연약으로 인한 도상침하가 있다.
궤도트럭(軌道 - ) railway truck
궤도트럭은 2t 적재용 트럭에 궤도상을 주행하는 주행장치 및 차량장치가 붙어있다. 필요에 따라
건널목 등을 이용하여 도로에서 궤도로 또는 궤도에서 도로로 용이하게 진출할 수 있다. 운전실 내의
전차승강레버를 조작하면 전차장치가 내려와 궤도를 지점으로 차체를 인력으로 90도 회전하여 도로
방향으로 돌리고 철륜승강레버를 조작하여 전차대가 차체 하부에 올라붙고 차체가 도로상에 내려서
도로 위를 주행할 수 있음.
궤도틀림(軌道 - ) buckling of the track
궤도의 궤간, 수평, 방향, 고저, 평면성 등의 틀림. 선로는 일반적으로 흙노반위에 레일과 침목을
스파이크 등으로 체결한 궤광을 도상 바라스트로 고정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궤도는 열차의 반복
하중에 의해 궤도의 각부 특히 도상부분에 각종변위와 변형이 발생한다. 이것을 궤도 틀림이라 한다.
1) 궤간틀림
좌우레일의 간격틀림으로, 궤간틀림이 클 경우에는 주행차량이 蛇行動을 일으키며, 더욱 크게
확대되면 차륜이 궤간내로 탈락하게 된다.
2) 수평틀림
좌우레일 답면의 수준틀림을 말하며 고저차로 표시한다. 수평틀림이 발생하면 차량에 좌우동을
일으킨다.
3) 면틀림
한쪽레일의 길이방향의 높이차를 말하는 것으로, 면틀림은 상하동을 유발하고 주행차륜의 부상으
로 후렌지가 레일을 올라타서 탈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4) 줄틀림
한쪽레일의 길이방향의 좌우 굴곡틀림으로, 줄틀림은 차량주행의 사행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5) 평면성 틀림
수평(수준)틀림의 변화량을 말하며, 이 틀림은 주행차륜의 후렌지가 레일을 올라타서 탈선의 원인
이 된다.
또한, 궤도틀림은 동적틀림과 정적틀림으로 구분하며, 실제 주행상태에서의 틀림을 동적틀림이라 하
고 열차하중이 없는 상태에서의 틀림을 정적틀림이라 하는데, 대형검측차에 의하여 정확한 동적틀림
을 측정할 수 있다.
궤도틀림지수(軌道 - 指數) index of disorder of track, index of track irregularity
어느 구간의 궤도틀림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틀림지수군의 정규분포도에서 어느 한도(±3mm) 이상의
틀림의 존재율을 나타낸 것. 틀림지수(P)는 틀림수치군의 평균치(m)와 표준편차(a)로부터 산출되며
궤도의 보수관리에 이용됨.
선로에서 어느 한정구간에 대한 궤도틀림 양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지수. 각각의 궤도틀림을 측정하는
경우, 일정치 이상의 틀림이 몇 %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p치)를 말함. p치는,궤도틀림의 분포
곡선에 일정한계선 ±a mm 를 그어 이것을 초과하는 틀림의 비율(%)로 표시하고 있다.일부에서는 궤도
연장 500 m의 측점수n에 대한 ±3 mm를 초과하는 개수 f를 기록하여 p=f/n×100 으로 p치를 산출하며
궤도의 보수관리에 이용된다.
궤도패드(軌道 pad) track pad
타이패드(tie pad)라고도 하며 레일과 침목 사이, 타이플레이트와 침목 사이, 레일과 타이플레이트
사이에 삽입하는 완충판으로 진동감소, 충격완화, 하중분산 등의 역할을 함.
궤도회로(軌道回路) track circuit
레일에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여 열차 또는 차량의 점유 유무를 검지하는 설비를 말함.
【철도신호규정】
궤도회로장치(軌道回路裝置) track circuit equipment
궤도회로에 사용하는 전원에 따라 교류, 직류, 임펄스, 가청주파수 및 코드식으로 구분하며 또 열차
에 대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궤전(饋電) feed
안테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
     [이전 10 개][1]...[51][52][53][54][55][56] 57 [58][59][60]...[70][다음 10 개]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