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로쇄정(閉路鎖錠) detector locking for signal lever, section lock |
출발신호기와 입환신호기를 소정의 위치에 설비할 수 없는 경우 열차 및 차량정지표지에서 출발신호
기와 입환신호기까지의 궤도회로 내에 열차가 점유하고 있을 때 압구를 정위로 쇄정하는 것. 출발
신호기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할 수 없는 관계로 그 위치에 열차정지표지를 설비한 경우와 지형 기타
사유로 인하여 신호기 취급자로부터 열차 또는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기 곤란한 신호기에 설비함.
|
|
폐색(閉塞) |
“막힘, 막음, 막힌 운행구간”으로 용어순화 (병행사용).
|
|
폐색(閉塞) block |
1. 열차와 열차가 충돌하지 않기 위해서는 첫째 교행설비가 있는 장소에서만 2개이상의 열차가 존재
할 수 있도록 열차의 운전시각을 조정하거나(시간간격법),
2. 둘째 선로상에 어떤 구간을 설정하여 그 구간에는 하나의 열차만 존재하도록 하여야 한다.(공간간
격법, 거리간격법) 여기서 시간간격법에 따라 열차계획을 한 것을 열차운행도표 혹은 열차다이야
라 하고 공간간격법에 따라 열차가 충돌하지 않게 하는 것을 폐색이라 함.
※ 국유철도운전규칙 : 일정구간에 동시에 2이상의 열차를 운전시키지 아니하기 위하여 그 구간을
열차의 운전에 점용시키는 것을 말함.
|
|
폐색구간(閉塞區間) block section |
2이상의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않게 위하여 정한 구역을 말함. 【운전취급규정】
※ 철도신호규정 : 2이상의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않기 위하여 정한 구간을 말하며, 자동구간에
서는 신호기 상호간, 비자동구간에서는 장내신호기와 인접역 장내신호기간을 말함.
|
|
폐색기(閉塞機) block instrument |
폐색의 목적을 위해서 폐색구간의 양단에 설치한 것으로 통표폐색기, 쌍신폐색기 및 연동폐색기가
있음.
|
|
폐색방식(閉塞方式) block system |
1폐색구간에 1개 열차 이외의 타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않기 위해서 시행하는 방법을 말하며,
이에는 상용폐색방식과 대용폐색방식이 있음.
1. 상용폐색방식
가. 복선구간:자동폐색식, 차내신호 폐색식, 연동폐색식
나. 단선구간:자동폐색식, 연동폐색식, 통표폐색식
2. 대용폐색방식
가. 복선운전을 할 때:통신식
나. 단선운전을 할 때:지도통신식, 지도식
【운전취급규정】
|
|
폐색비상취소버턴(閉塞非常取消 - ) blocking cancel emergency button |
기계연동폐색장치의 일부로 열차운행정리 등으로 폐색취급 후 이를 취소하여야 할 경우 운전사령의
승인을 받아 취급하는 압구로서 평상시는 봉인함.
|
|
폐색상황판(閉塞狀況板) |
운전장표의 일종으로 자역 착발열차에 대한 폐색취급상황 및 관계부서에 대한 통고, 기타 열차취급에
관련된 사항을 폐색취급자 부근에 기록․비치함으로써 취급자로 하여금 이행현황을 일목요연하게 파
악할 수 있게 하여 실념으로 인한 취급지연 또는 착오취급을 예방하기 위해 정거장 및 신호소에서 사
용됨.
|
|
폐색선(閉塞線) blocking line |
인접 역소간에 있어서 폐색기가 단말에 접속된 회선을 말함. 【통신선로시설규정】
|
|
폐색신호기(閉塞信號機) block signal |
폐색구간에 진입하는 열차에 대하여 폐색구간의 진입 가부를 지시하는 신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