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쇄정(條件付鎖錠) conditional locking |
신호기의 현시조건에 따라 전철기의 개통방향을 쇄정하는 것.
※ 철도신호규정 : 갑과 을의 취급버튼 상호간에 갑의 취급버튼을 반위로 하였을 경우 을의 취급버튼
은 다른 취급버튼의 어떠한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만 쇄정되고 그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쇄정되
지 않는 것을 말함.
|
|
조근(助勤) |
소속기관의 장을 달리하는 기관간의 일시한인 근무지정을 말함.
【철도청직원 조근 및 대무에 관한 규정】
|
|
조기원(操機員) |
“기계조작원, 운전원, 기관원”으로 용어 순화 (바꿈말만 사용).
|
|
조명궤도반(照明軌道盤) illuminated track diagram |
구내의 배선, 신호기, 전철기 기타 필요한 것을 표시하고 표시등을 설비한 것.
|
|
조발(早發) |
열차가 정거장에서 계획된 시각보다 미리 출발하는 것을 말함. 【운전취급규정】
“일찍 떠남, 일찍 일어남”으로 용어순화 (바꿈말만 사용).
|
|
조사쇄정(照査鎖錠) check locking advance |
한 역 구내에서 신호취급소가 2개소 이상일 때 취급소간의 상호 필요한 연쇄를 하는 것.
|
|
조성(組成) car arrangement, classification |
철도 수송을 위해 수송목적에 맞도록 차량의 연결순서를 변경하거나 사고차를 빼내거나 차량을 연결
또는 해방시켜서 열차를 꾸미는 작업.
|
|
조성선(組成線) car arrangement track, classification track |
열차의 조성을 위한 선로의 군으로 그중 1개선만 1개 열차장을 필요로 하며 그 외의 선은 해방과
증결을 하는 객차, 화차를 수용하는 짧은 선을 설치하고 유치선도 조성선으로 활용될 경우도 있음.
화물전용 조차장에서 열차의 조성을 목적으로 수 개의 선로를 나란히 설치하고 한쪽 끝 또는 양쪽을
분기기로 인상선에 연결한 선로의 군.
정거장의 경우는 입환선이라고 하나 통상 혼용해서 사용함.
여기서 분기기의 배치방법은 입환기관차 승무원의 투시, 조성작업의 편의성, 분기기 전환장치의 용이
성, 조성작업 소요시간의 단축 등을 고려하여 설치되어야 함. ☞ 입환선
|
|
조성선군(組成線群, group of organization track) |
열차를 조성하기 위한 선로의 군(群)을 말한다.
|
|
조영물(造營物) building construction |
건축물․광고탑 등 토지에 정착하는 설비 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을 가지는 설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