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TCA

korea railway track construction association

철도·궤도공사업협의회


철도용어사전

철도용어사전
| | | | | | | | | | | | |
을종발매소(乙種發賣所)

철도직원을 배치하지 아니한 간이역의 구내에 설치한 발매소를 말함. 이 경우, 수도권전철역은 보통
역의 승차권 발매업무를 위탁한 경우를 포함함. 【국유철도승차권류위탁발매규정】

음향신호(音響信號) acoustic signal, audible signal

벨, 부저, 사이렌 등을 써서 철도건널목에서 열차의 접근을 공중에게 경보하는 장치를 말함.
응급 이음매판(應急 이음매板, emergency joint bar)

레일이 손상되었을 경우에 응급이음매판을 임시로 설치하고 열차의 안전을 확인하면서 서행으로 통과
시켜 손상레일을 갱환한다.
응급복구(應急復舊, emergency rehabilitation)

재해 등으로 선로침수, 교대 및 교각의 세굴, 전도, 둑 붕괴, 유실 등을 임시로 가복구하는 것을
말한다. 열차를 서행 운전시키며 본복구를 한다.

이동관리대(移動管理隊) TMO

수송이동관리부대로서 군사수송업무에 대한 현지 실무기관을 말함.
【철도군사수송협정서】 ☞ 티 엠 오
이동구간운임적용구간(移動區間運賃適用區間)

수도권전철구간 중 구역운임적용지역을 제외한 전철구간, 서울도시철도구간 및 인천지하철구간을
말함.【전철여객운송규칙】

이동금지전호(移動禁止傳號) no-moving sign

차량의 검사 또는 수선 등을 위해 차체 밑에 들어갈 때 사용하는 전호로, 주간에는 적색기, 야간에는
적색등을 게출함.
이동전선(移動電線)

전기 사용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중에서 조영물에 고정하여 시설하지 아니하는 전선.

이례사태(異例事態) abnormal situation

열차운전 중 철도시설, 외부시설, 인적, 물적 등의 요인으로 정상적이 아닌 상태가 발생한 경우로,
관계자는 상황을 판단하여 관련규정 및 열차운전에 가장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함.
이론 교차점(理論 交叉點, theorelical(mathematical) point)

분기기의 크로싱부에서 두 궤간선의 교점(交點)을 말하며 크로싱 교점이라고도 한다. 포인트부에서는
기본레일의 궤간선과 텅레일의 궤간선의 교점을 말한다.

     [이전 10 개][1]...[31][32][33][34][35][36] 37 [38][39][40]...[44][다음 10 개]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