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TCA

korea railway track construction association

철도·궤도공사업협의회


철도용어사전

철도용어사전
| | | | | | | | | | | | |
차량접촉한계(車輛接觸限界, fouling point, Clearance of track)

본선과 측선 또는 측선과 측선의 각선상에 동시에 차량이 진입시 차량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거리
및 위치.
차량접촉한계표(車輛接觸限界標) car limit post

인접 궤도의 차량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세우는 표지로 본선과 측선 또는 측선과 측선 사이에
세움. (양쪽 궤도 중심간격 4m의 지점에
차량정지표지(車輛停止標識) car-stop indicator

정거장에서 입환차량을 입환전호 생략에 의하여 운전하는 경우 운전구간의 종단을 표시할 필요 있는
지점, 또는 상시 입환차량의 정차위치를 표시할 필요있는 지점에 설치하는 표지로 입환차량은 이
표지 설치지점을 지나서 정차 할 수 없음.
차량진동(車輛振動) vibration of car

선로 상에 주행하는 차량의 흔들림. 차량진동에는 차체진동(스프링 상부 질량진동)과 스프링 하부
질량진동이 있고, 차체진동에는 동요(動搖:차체가 부분적으로 미세하게 떨리는 것)가 있으며, 차체의
동요는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으로 나뉜다. 병진운동은 전후움직임, 좌우움직임이 있으며, 회전운동은
rolling, pitching, yawing이 있음.

차량최고속도(車輛最高速度) car maximum speed

열차의 안전운행을 위하여 차량의 주행성능, 제동력 등을 감안하여 정한 최고속도. 디젤기관차
2000~6000호대, 75000호대 : 105km/h, 4300, 6310, 7000~7500호대 : 150km/h, 전기기관차 : 8000호
대, 기타 동차 : 105~120km/h, 객차 새마을(전차량) : 150km/h, 무궁화 : 120~150km/h, 화차 각종
: 60~90km/h
차량축간거리(車輛軸間距離) wheel base of a vehicle

ꡒ대차간 중심거리ꡓ로 용어 개정. ☞ 대차간 중심거리.
차량축거(車輛軸距)

ꡒ대차간 중심거리ꡓ로 용어 개정. ☞ 대차간 중심거리.
차량축중계(車輛軸重計)

자동차 또는 기타 차량의 중량검사에 사용되는 장치.
차량탈선(車輛脫線) car derailment

운전장애의 일종으로 차량이 탈선하였을 때도 운전사고에 해당되지 않으나 열차 또는 차량운전에
지장을 준 것.

차량파손(車輛破損) car demage

운전장애의 일종으로 차량충돌․차량접촉 등으로 차량이 파손되었을 때로 운전사고에 해당되지 않으
나 열차 또는 차량운전에 지장을 준 것.
     [1][2] 3 [4][5][6][7][8][9][10]...[23][다음 10 개]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