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전차선식 |
궤도면상의 일정한 높이에 가선한 전선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차는 pantagraph로 집전하여 궤도를
귀선으로 하는 가공단선식과 전원의 양단을 2개의 가공전차선에 접속하는 가공복선식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가공단선식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
|
가공지선(架空地線) overhead earth(ground) wire |
가공전선로의 뇌격방지를 위하여 전선로 상부에 설치하는 접지전선을 말함. 전철전력시설규정
|
|
가교(假橋) temporary bridge |
공사용이나 공사중의 우회로로서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교량.“임시다리”로 용어순화 (바꿈말만 사용)
|
|
가능교통량(可能交通量) possible traffic capacity |
실제적인 도로 조건과 교통조건에서 차선 또는 도로상의 한 지점을 한시간 내에 통과할 수 있는 차량
의 최대 수.
|
|
가도교(架道橋) over bridge, over road bridge |
선로나 도로 위를 가로질러 놓은 다리. 철도 밑 횡단도로”로 용어순화 (권장사용).
|
|
가동K크로싱(可動 - ) movable K-type crossing |
다이아몬드 크로싱에서 그 모양이 “Kꡓ자와 같은 모양임. 가동부분의 레일은 보통 포인트의 첨단
레일과 같은 구조이고 다이아몬드 크로싱은 크로싱만 4조인데 비하여 가동 K 크로싱은 첨단레일 2조
와 크로싱 2조로 구성되어 있음.
|
|
가동교(可動橋) movable bridge |
교량 밑으로 선박 등이 다닐 수 있도록 교량의 본체를 움직일 수 있게 한 교량. 교량 본체의 이동
방법에 따라 도개교(跳開橋), 승개교(昇開橋), 선회교(旋回橋), 전개교(轉開橋) 등으로 분류함.
|
|
가동교보안장치(可動橋保安裝置) movable bridge safety system |
가동교와 신호기 상호간의 연쇄를 하기 위한 장치.
|
|
가동구간(可動區間, movable section.) |
장대레일 구간에서 온도변화에 따라 레일이 신축하는 부분을 가동구간이라 한다. 가동구간의 길이는
도상저항력, 레일온도 변화 등에 따르며 통상 장대레일 양단의 약 100 m가 된다. 도상저항력을 일정
하게 하면 가동구간의 길이는 가
|
|
가동노-즈크로싱(可動 - ) movable nose crossing |
크로싱의 노-즈 일부가 좌우로 가동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노-즈의 선단부가 양쪽 윙 레일
(wing rail) 양측에 밀착하여 결선부분을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개통시키고 연결시켜 차량개통을 원활
하게 함. 이 방식은 일본국철의 고안으로 고속열차 운행에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