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TCA

korea railway track construction association

철도·궤도공사업협의회


철도용어사전

철도용어사전
| | | | | | | | | | | | |
복분기기(復分岐器) double switch turnout, double turnout

하나의 분기기 중에 또 하나의 분기기를 붙인 것. 분기기 중에서 또 하나의 분기기를 설치하여 한 선
에서 두 분기선이 분기되어 3방향으로 갈라지는 분기기.
복선(複線) double track

2개의 선로가 병행 부설되어 상하행 열차를 각기 별도의 선로로 운행되도록 한 한쌍의 궤도.
복선구간(複線區間, double track territory)

2개의 궤도로 구성되어 있는 각 지역간 구역.
복선식(複線式) double-trolley

전기철도에서 전차, 전기기관차에의 전력 전송방식의 하나로, 궤도 위를 따라서 두 줄의 전차선을
가설하고, 한쪽 선을 전차에 보내서 전동기를 운전하고 그 전류는 다른 쪽의 선을 통해서 변전소로
복귀함.
복수직(위) (複數職位)

행정직렬 또는 기술직렬로 보직할 수 있는 직위. 일반적으로 한 직위는 직렬, 직급이 규정되어 있으
나 예외적으로 직렬을 하나에 특정하지 않고 2개 이상으로 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2개 이상
의 직렬로 보직할 수 있는 직위를 복수직 혹은 복수직위라 함.
복진(匐進) rail creep, creeping

레일이 열차통과에 의하여 궤도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레일복진의 원인으로는 1)레일과 차륜과의
마찰, 특히 제동기 사용 등 2)차륜의 레일 이음매 충격 3)레일의 온도신축 4)차륜회전의 반작용
5)열차 진행시의 레일의 파상운동 등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과 침목의 체결강화, 레일앵커
체결 및 침목 이동방지 등이 강구됨. “선로밀림”으로 용어 순화 (바꿈말만 사용).
레일이 열차의 주행과 기온변화의 영향으로 궤도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
레일복진의 원인으로서는,
1) 레일과 차륜과의 마찰(특히 제동기 마찰).
2) 차륜의 이음매 충격.
3) 레일의 온도신축.
4) 차륜회전의 반작용.
5) 열차진행시의 레일의 파상운동 등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1) 레일과 침목의 체결력 강화
2) 레일 앵커 체결 및 침목 이동방지 등이 강구 됨.

복진방지장치(匐進防止裝置, anticreeper)

열차의 주행과 온도변화의 영향으로 레일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치로서 레일과 침목간, 침목과 도상간의 마찰저항을 크게 하는 방법이 있음.
복합레일(複合軌條, compound rail)

레일두부에 한하여 내마모성이 큰 특수강을 사용하여 제작한 레일로서 두부에 고탄소, 크롬강을
복부, 저부에는 저 탄소강을 사용한 것으로 내마모 레일은 보통레일의 약 6배의 내구력이 있다.
본드이음매(본드繼目, bonded joint)

레일을 자동신호기의 전기회로로 사용할 경우 또는 전철구간에 있어서 레일을 전차전류의 귀선으로
이용할 때 보통이음매 구조로는 전기저항이 크므로 레일의 양단을 동선으로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완전 접합시킨 이음매.
본무(本務) main task

열차에 2이상의 동력차를 사용하는 경우 열차운전의 책임을 지는 동력차나 기관사를 말함. “본업무,
맡은 일, 주무”로 용어순화 (바꿈말만 사용).
     [이전 10 개][1]...[11][12][13][14] 15 [16][17][18][19][20]...[22][다음 10 개]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