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기와 전철기의 연동관계를 나타내는 도표. 배선약도와 연동표로 이루어지며, 이 도표에 의하여
연동장치의 설계제작 및 설치 후의 보수작업을 하게 됨. 어떤 역 구내에 각 열차가 서로 충돌하지
않고 운행할 수 있도록 신호기와 전철기 상호간에 쇄정상황을 나타낸 도표.
연동역열차무선조작반(聯動驛列車無線操作盤) interlocking radio control panel
서울지하철공사에서 사용하는 열차무선통신장치의 일부로서 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무전기를 조작할
수 있는 역할을 함.
연동장치(聯動裝置) interlocking installation
1. 신호기, 보안장치(전철기 등)를 상호 연쇄하여 열차 운행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
※ 철도신호규정 : 신호기, 선로전환기, 궤도회로 등의 제어 또는 조작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상호 쇄정하는 장치를 말함.
2. 철도 신호보안장치의 일종. 신호기와 전철기, 신호기와 신호기, 전철기와 전철기, 열차 또는 차량
과 신호기와의 사이에 필요한 연쇄관계를 갖도록 하여 이들을 취급할 때 일정한 순서와 제한을 밟
지 않으면 조작이 안 되도록 한 장치. 형식과 보안도에 따라 제1종 연동장치와 제2종 연동장치가
있으며, 조작 동력에 따라 기계, 전기, 전자, 전기계전, 전자계전 연동장치가 있다.
연동전철기(聯動轉轍機) interlocking points
전철기가 타 장치와 상호 관련하여 동작 되도록 되어 있는 전철기.
연동폐색장치(聯動閉塞裝置) interlocking block device
폐색구간 양끝의 정거장 또는 신호소에는 연동폐색기를 설치하고 일정한 조건을 구비한 장치를 하여
야 하는 폐색장치. 양 정거장 사이에 1개 열차만 운행시키는 방식으로서, 양 역장이 협동하여 상대역
장이 전기적 신호를 보내줘야만 출발신호 현시가 가능하며, 단선구간에서는 1방향의 출발진행신호를
현시할 경우 상대역의 출발진행신호 현시가 불가능함.
연동함(聯動函) locking box, point lock and detector
1. 기계신호구간에서 신호기와 해당 전철기 상호간을 쇄정시키는 장치.
2. 제2종연동기에서 전철기에 부착하여 신호기, 전철기 등의 연쇄를 기계적으로 하는 함.
연락운송(連絡運送) joint traffic, connecting transport
장거리 여러 구간의 운송에 있어서 각 구간의 운송인들이 공동으로 운송을 맡아 구간이 바뀔 때의
승차권의 교환 및 탁송환(煥) 등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운송.
※ 전철여객운송규칙 : 수도권전철구간 내에서 전철구간, 서울지하철구간, 서울도시철도구간 및 인천
지하철구간을 서로 이어서 여객을 운송하는 것을 말함.
연락정차장(連絡停車場, junction station)
2 이상의 선로가 집합하여 연락 수송을 하는 정차장으로 일반 연락 정차장, 분기 정차장, 접촉정
차장, 교차정차장이 있다.
연사폐색기(聯査閉塞器) tokenless block instrument
연사폐색장치에 사용하는 기기.
연사폐색장치(聯査閉塞裝置) tokenless block
단선구간에 역간을 1 폐색구간으로 하여 폐색구간의 양단에 짧은 궤도회로를 설치하고, 이것을 신호
기와 연관시켜 신호기의 현시를 열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양 역간의 출발신호기를
연동시킨 장치.